효령
행사 일정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직언(李直彦) [1545(인종19)~1628(인조6)]

초명은 시언(時彦), 자는 군미(君美), 호는 추천(秋泉) 또는 졸암(拙庵), 시호는 정간(貞簡). 대군의 5대손이며 칠산군 선손(璿孫)의 손자이고 증 좌찬성 형(泂)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증 정경부인 동래정씨로 별좌 응운(應雲)의 딸이며, 부인은 정경부인 단양우씨로 진사 사겸(思謙)의 딸이다. 1573년(선조6) 사마시를 거쳐 1576년(선조9)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典籍)·호조좌랑·정랑·지평·사성(司成)을 역임하고 평산군수로 나갔다가 1589년 사직했다. 그 후 상의원정(尙衣院正)을 거쳐 태복시정(太僕寺正)을 지내고 강릉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그 뒤 장령·사재감정을 거쳐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통어사(統禦使)의 종사관이 되었다가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사예(司藝)에 보직되고 이어 헌납·장령 등을 역임한 뒤 명나라에 가서 군량미의 원조를 청했다. 이듬해 사간으로 경상도 진휼어사(賑恤御史)가 되어 백성을 선유(宣諭)하고 돌아와 <시사8조(時事八條)>를 상소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했으며, 이 때 정철(鄭澈)의 죄를 추론(追論)하는 의론이 일어나자 이를 반대하여 파직되었다. 1596년 해주목사에 기용되고 이어 인천·수원 등지의 수령을 거친 다음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1601년 승지에 올라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뒤에 여주목사·경주부윤을 역임하며 치적을 쌓아 경기도 관찰사와 1605년(선조38) 한성부 판윤이 되었다. 1609년(광해군1) 대사헌이 되었으나 이 해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로 사직했다. 1612년(광해군4) 개성부 유수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고 이듬해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은퇴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우참찬에 기용되고 1627년(인조5) 정묘호란 때 우찬성으로 임금을 강화에 호종(扈從), 척화를 주장했다. 유고로는 <추천선생집(秋泉先生集)> 1권(규장각 소장)과 사단법인 청권사가 간행한 <국역 추천문집(秋泉文集)>이 있다. 묘소는 시흥군 금불암 칠산군묘 청룡 해좌였는데 서울시 확장 당시 후손과의 연락 두절로 실전되었다.

게시글이 어떠셨나요?



다른 이모티콘을 한번 더 클릭하시면 수정됩니다.
반응 전체보기 참여자 보기

화살표TOP